안녕하세요.
대량수동의 원조 부자공장장 구리삽 입니다.
온라인 쇼핑몰 창업을 꿈꾸신다면
자연스럽게 뒤따르는 생각은 다음과 같습니다.
“무엇을 판매할까?” “어떤 방식으로 판매할까?”
그러다 위탁판매나 사입, 그리고 구매대행 등 여러 가지 판매 방식을 알게 될겁니다.
그런데 어떤 분야가 그렇지만, 특히 구매대행에은 좀 편견이 존재하기는 합니다.

“알리나 테무 같은 글로벌 플랫폼이 있는데, 누가 해외직구 제품을 사겠느냐. 이미 구매대행은 끝물이다.”
“구매대행은 끝났으니 결국 강의팔이로 돈을 버는 것 아니냐.”
이런 이야기를 접해보신 적이 있으실 겁니다. ㅎㅎ
실제로 직접 해보지 않고 않고 단순한 예측이나 주변에서 들은 정보만으로
실패담을 전하시는 분들이 계시기도 하고
아님, 직접 도전했으나 결과가 좋지 않아 “구매대행 사업은 이미 끝났다”라고 말하시는 분들도 있습니다.
당연합니다. 모든 사람이 같은 결과를 얻을 수는 없으니까요.
온라인 쇼핑몰을 전업으로 운영하는 사람들은 셀 수 없이 많습니다.
쇼핑몰 창업을 시도하는 사람이 한두 명이 아닌 것처럼,
구매대행 사업에 뛰어든다고 해서 누구나 동일한 성과를 거두는 것은 아니니까요.
하지만 나만 쇼핑몰을 열고, 나만 구매대행을 하는 게 아닌데도,
여전히 이 분야에서 성공하시는 분들은 계속 나타나고 있습니다.

“그냥 온라인에 물건만 올려둔다고 해서 저절로 팔릴까요?”
오프라인 예시를 들어 보겠습니다.
식당을 운영하려면 우선 월세를 내고, 어느 정도 유동인구가 확보된 자리에 위치하게 됩니다.
사람들이 오가며 자연스럽게 식당을 발견하므로, 일정 수준의 ‘노출’은 이미 보장되는 셈입니다.
물론 유동인구가 많을수록 월세는 그만큼 더 비싸지요.
온라인도 마찬가지입니다.
단순히 제품을 등록해 두는 것만으로는,
그 제품이 ‘알아서’ 판매되리라고 기대하기 어렵습니다.
아니 기대하면 안되는 것에 가깝습니다.
오히려 인적 드문 산속에 치킨집을 열었다고 상상해 보시면
노출의 중요성이 얼마나 큰지 쉽게 느끼실 수 있을 겁니다.

결국, 잘 팔릴 상품을 제대로 소싱하고, 노출을 위한 광고나 마케팅을 제대로 운영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말을 줄이자면, ‘소싱’과 ‘광고’ 이 두 가지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뜻이죠.
어떤 방식으로 상품을 찾아내고 어떤 식으로 판매를 진행하느냐에 따라,
당연히 결과는 달라질 수밖에 없습니다.
그리고 이 두 과정은, 가장 많은 시행착오가 따르는 부분이고요.
그렇기에 소싱과 광고 전략을 제대로 익히지 못한다면, 결국 매출 부진으로 이어지고,
좀 전에 말씀드린 내용처럼 구매대행 사업에 대한 좋지 않은 경험만 쌓게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래서!
온라인 판매로 돈을 벌어보고 싶지만 무엇부터 시작해야 할지 모르시는 분들,
해외 구매대행이 실제로 수익이 나는지 의문이 드시는 분들,
구매대행을 이미 운영 중이지만 매출 상승에 어려움을 겪고 계신 분들 을 위해
확고한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구리삽의 시크릿노트』 전자책을 집필하게 되었습니다.

제가 구매대행을 시작한 계기와 기초 개념부터
판매에서 중요한 소싱과 광고까지 내용을 아주 알차게 담았어요.
그래서 온라인 판매를 접해본 적 없는 초보자분들은
전체적인 프로세스를 아주 쉽고, 자세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했고,
온라인 쇼핑몰이나 구매대행을 해보신 분들도
어떤식 으로 높은 매출을 유지할 수 있는지
더욱 디테일 노하우를 깊이 있게 전해드리고자
소싱과 광고에 대한 내용을 꾹꾹 정성껏 눌러 담았습니다.
낮에는 머스트클래스 수강생분들과 함께하고
밤과 새벽에는 전자책을 집필하느라 정신없는 나날들을 보내게 되었네요.
제가 정성을 쏟은 전자책인 만큼
여러분들께 좋은 인사이트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항상 설레는 삶 사시기를 빌겠습니다~!
전자책을 신청하는 방법은 아래 링크 참고하시면 됩니다.
https://cafe.naver.com/9gresap/3266
'구리삽의 사업 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많은 부업 중 해외 구매대행을 하는 이유 - 2편 : 타겟층 (0) | 2025.02.11 |
---|---|
수많은 부업 중 해외 구매대행을 하는 이유 - 1편 : 구매대행 사업이란? (1) | 2025.02.10 |
쿠팡 구매대행 부업이 온라인 사업으로 최고 맞아? (4) | 2025.02.07 |